banner
홈페이지 / 소식 / 기계를 통한 생쥐와 환자의 종양 내 이질성 정량화
소식

기계를 통한 생쥐와 환자의 종양 내 이질성 정량화

Sep 03, 2023Sep 03, 2023

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(2023)이 기사 인용

2 알트메트릭

측정항목 세부정보

종양학에서 종양 내 이질성은 치료 효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종양 생검을 통해 부분적으로 특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. 여기에서 우리는 종양 내 이질성이 동적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(PET) 및 다중 매개변수 자기 공명 영상(MRI)의 데이터로 훈련된 표현형별 다중 뷰 학습 분류기를 통해 공간적으로 특성화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. 피하 결장암이 있는 생쥐의 PET-MRI 데이터로 훈련된 분류자는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표적 치료제로 인한 표현형 변화를 정량화하고 종양 조직 하위 유형의 생물학적으로 관련된 확률 맵을 제공했습니다. 대장암으로 인한 간 전이가 있는 환자의 후향적 PET-MRI 데이터에 적용했을 때 훈련된 분류자는 종양 조직학과 일치하는 종양 내 조직 하위 영역을 특성화했습니다. 기계 학습을 통해 지원되는 다중 모드, 다중 매개변수 이미징을 통해 생쥐와 환자의 종양 내 이질성을 공간적으로 특성화하면 정밀 종양학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습니다.

구독 콘텐츠의 미리보기입니다. 기관을 통해 액세스하세요.

Nature 및 기타 54개 Nature 포트폴리오 저널에 액세스하세요.

최고의 가치를 지닌 온라인 액세스 구독인 Nature+를 받으세요

$29.99 / 30일

언제든지 취소하세요

이 저널을 구독하세요

12개의 디지털 발행물과 기사에 대한 온라인 액세스를 받습니다.

연간 $79.00

호당 단 $6.58

이 기사를 대여하거나 구매하세요

필요한 만큼 이 기사를 받아보세요.

$39.95

가격에는 결제 시 계산되는 지방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.

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주요 데이터는 논문 및 보충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전임상 데이터는 합당한 요청이 있을 경우 담당 저자에게 제공됩니다. 환자 기밀 유지 의무로 인해 임상 데이터를 공유할 수 없습니다.

적용 가능한 경우에는 MATLAB의 기본 방법이 기계 학습 분석에 사용되었습니다. 시각화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사용자 정의 코드는 요청 시 해당 작성자에게 제공됩니다.

Eisenhauer, EA et al. 고형 종양의 새로운 반응 평가 기준: 개정된 RECIST 가이드라인(버전 1.1). 유로. J. Cancer 45, 228–247 (2009).

기사 CAS PubMed Google 학술검색

오코너, JPB 등. 암 연구를 위한 이미징 바이오마커 로드맵. Nat. 클린 목사. 온콜. 14, 169–186(2016).

기사 PubMed PubMed Central Google 학술검색

Judenhofer, MS 외. 동시 PET-MRI: 기능 및 형태학적 이미징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입니다. Nat. 메드. 14, 459-465(2008).

기사 CAS PubMed Google 학술검색

Disselhorst, JA, Bezrukov, I., Kolb, A., Parl, C. & Pichler, BJ PET/MR 영상의 원리. J.뉴클. 메드. 55, 2S–10S(2014).

기사 PubMed Google 학술검색

베일리, DL 외. PET/MR 결합: 실제 작업이 이제 막 시작되었습니다. PET/MR 영상에 관한 제3차 국제 워크숍 요약 보고서; 2014년 2월 17~21일, 독일 튀빙겐. 몰. 이미징 바이오. 17, 297–312(2015).

기사 CAS PubMed PubMed Central Google Scholar

Gillies, RJ & Beyer, T. PET 및 MRI: 전체가 부분의 합보다 더 큽니까? 암 입술. 76, 6163-6166(2016).

기사 CAS PubMed PubMed Central Google Scholar

Schmitz, J.et al. 다중 매개변수 생체 내 이미징을 통한 유방암의 종양 내 이질성 디코딩: 번역 연구. 암 입술. 76, 5512-5522(2016).

기사 CAS PubMed PubMed Central Google Scholar